미숙아
: 만산 10개월 미만의 출산된
아이의 혈액속에 20㎖/㎗ 이하
일 때 성숙아 : 임신기간
10개월의 정상기간을 거쳐 정상체중으로
태어난 소아가 72시간 이내 혈액속에
30㎖/㎗ 이하, 혹은 72시간 이후
40㎖/㎗이하
일 경우를 저혈당증이라 한다.
|
|

|
|
①
저장 글리코겐 결핍 : 미숙아:조산아,
출생시의 체중미달, 저 체온 ②
인슐린의 과잉분비 : 혈액속의
당분을 분해시키는 인슐린이 정상보다
많이 분비되어 혈당이 저하된다.
당뇨병을 갖은 엄아의 아기
신생아 용혈성질환(Rh 부적합,ABO부적합,
인슐린종 등이 있다) ③
대사성질환 : 당원병, 갈락토스혈증,
과당불내증, leucine 과민증 ④
중증의 질병 : 두 개내 출혈,
저산소성장애, 호흡곤란 증후군,
전신감염, 심부전
|
|

|
|
생후
수시간부터 1주일 사이에 저혈당
증상이 나타난다. ①불안
, 흥분, 과민, 경기, ②무 호흡,
③청색증, ④의식상실, ⑤간질성발작,
⑥기면(嗜眠):계속 잠을 자는
것, ⑦자지러지게 운다
|
|

|
|
①
모치태병(母致胎病) : 모체의
신체적, 정신적 이상으로 아이에게
병을 줄 수 있다. 당뇨병이 있는
산모. 모체가 당뇨병이 없다
하더라도
임신중에 정신적으로 어떤 자극으로
놀래거나 하면 태아에게 경기(驚悸)를
일으킬 수 있는 원인이
제공된다. ② 선천부족(先天不足)
: 신체적, 정신적으로 부족한
상태 즉, 완숙하지 못한 상태에서
태어 났을 때에도 이병의 발생원인이
된다 ③ 경계(驚悸) :
소리나, 어떤 물체에 놀라서
태어나면서 주위 환경에 자극을
적응하지 못하여 위장기능저하
영양흡수 이상으로 발생한다.
④ 비허, 식체, 설사,
구토(脾虛, 食滯,泄瀉, 嘔吐)
: 식체나 설사 구토로 당분이나
영양흡수 결핍과 위와장의
기능저하로서도 발생한다.
|
|

|
|
한의학에서
저혈당증을 만성경풍에 속하는
질환으로 보며 만성경풍에 준하여
변증 시치한다.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