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치병의 정의
당뇨병 클리닉
소화기계 난치병
순환기계 난치병
호흡기계 난치병
비뇨기계 난치병
산부인과 난치병
소아과 난치병
외과 난치병
피부질환 난치병
이비인후과 난치병
안과 난치병

  로그인

폐결핵은 임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하나의 만성 전염성병이며 결핵균에 의해 폐에 감염되어 오는 질환이다. 증상은 주로 기침, 객혈, 수면시 식은땀, 체중감소 등이 있다. 처음 감염된 것을 원발성 폐결핵이라 하고 재차 감염된 것을 속발성 폐결핵이라 한다. 체내에 면역력이 없으면 전신적으로 증상반응이 나타나고, 소아에게서 많이 발생하는 것이 원발성폐결핵이다.  

체내에 면역력이 있고  병변이 국부에 국한되어 있을 때 국소적인 증상반응이 강하게 나타나는 것을 속발성폐결핵이라 하며 주로 청년이나 성인에게서 많이 발생한다. 한의학에서  노채(勞채), 폐로(肺勞 ), 허로(虛勞)등의 범위에 속한다. 옛부터 한의학에서 노채를 하나의 전염병이라고 인식하여 왔고 서기300년경 진(晋)나라, 당(唐)나라 때에는 인체의 기(氣)  

즉, 저항력이 떨어지면 이러한 독기(毒氣)나 사기(邪氣)가 인체내에 칩입하여 발생하는 병으로 기재되어 있다. 서기 900경 송(宋)나라 이후 노채는 노채충(勞채蟲)을 즉, 균에 의해 전염된다는 확실한 기록이 있다 .

 

주요증상은 기침, 가래, 조열, 식은땀, 객혈 등이 있다.

 

1. 음허화왕형(陰虛火旺型) : 몸에 열이 올랐다 내렸다 하며 얼굴양뺨이 붉고 목이 마르고 갈증이 나고 가슴쪽이 아프면서 번열이 있다. 기침하는데 가래는 적으며 객혈이 선홍색을 띠고 혀(舌)는 붉고 맥박이 가늘고 빠르게 뛴다.

2. 기허담습형(氣虛痰濕型) : 태수 천식과 더불어 가래에 거품이 많고 가슴이 답답하고 신체적 정신적피로와 음성이 낮고 약하며 얼굴이 하얗다.

3. 기음양휴형(氣陰兩虧型) : 기침을 하면서 가래는 많지 않다 혹 가래에 피가 섞이고 정신피로와 천식, 얼굴 양뺨이 붉고 식은땀 도한증 목이 마르며 입이 텁텁하고 식욕저하 등이 있다. 이상과 같은 증상분류에 따라 치료방법이 다르다. 근래에 와서 소아 결핵예방접종이 잘 되어 있어 결핵에 감염되는 비율이 많이 낮아 졌지만, 그래도 결핵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생각보다 많다. 치료방법으로는 항결핵약과 병용하는 방법으로 식이요법도 곁들여서 병행하면 치료기간이 단축되어 회복이 빠르다.

식이요법
① 객혈이 있는 환자는 연근(연꽃뿌리)을 즙을 내어 1일3회씩 복용케 한다.

② 마늘 죽 : 마늘 50g 정도 현미 한홉 : 물을 끊인 후에 마늘을 넣어 약 2분 동안 끊인 후에 마늘을 건져내어 현미를 넣어 죽을 다 끊인 후, 건져 놓은 마늘을 다시 넣어 죽과 마늘을 같이 먹는다. 아침 저녁 1일 2회씩 복용한다.